안될과학 Unrealscience
안될과학 Unrealscience
  • 1 465
  • 254 089 872
우리가 자주 마시는 음료에 형광물질이 들어있었다?! 세포연구에 사용된 형광의 역사! 형광으로 알아본 세포의 세계 1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강현오 박사)
우리가 흔히 마시던 음료에도 형광물질이 들어있다?
지폐를 비롯한 우리 생활 곳곳에 사용되는 형광!
과연 세포연구에서 형광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강현오 박사님과 함께 알아봅니다
◆ 2024 신상 굿즈 블록 피규어 키링 + 포스터 출시
모어사이언스 스토어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smartstore.naver.com/morescience
#형광 #토닉워터 #비타민음료 #세포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강현오
◆ Thanks to
편집 : 조주현
Studio : 서울스트리밍스테이션
Guest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강현오 박사
◆ 안될과학-모어사이언스 스마트스토어 (과학굿즈)
smartstore.naver.com/morescience
◆ 안될과학 인스타그램
unreal.science
◆ 안될과학 커뮤니티
cafe.naver.com/unrealscience
◆ 안될과학 문의
E-MAIL : MoreScience2018@gmail.com
Переглядів: 5 960

Відео

화학으로 탄소중립이 가능하다?! 지속 가능한 문명을 가능하게 만드는 화학! (한국화학연구원 박지훈 박사 2부)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14 годин тому
인류를 식량의 문제에서 구원한 프리츠 하버! 두 얼굴을 가진 자라는 명성의 하버가 발견한 질소고정법은? 과연 화학으로 탄소중립이 어떻게 가능한지 한국화학연구원 박지훈 박사님과 함께 알아봅니다 ◆ 2024 신상 굿즈 블록 피규어 키링 포스터 출시 모어사이언스 스토어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smartstore.naver.com/morescience #화학 #케미 #전기화학 #열화학 #석유화학 #한국화학연구원 #박지훈박사 ◆ Thanks to 편집 : 최하람 Studio : 서울스트리밍스테이션 Guest : 한국화학연구원 박지훈 박사 ◆ 안될과학-모어사이언스 스마트스토어 (과학굿즈) smartstore.naver.com/morescience ◆ 안될과학 인스타그램 unreal.sc...
현대 문명의 숨은 주역! 석유화학의 놀라운 비밀! 물질의 시대를 이끈 석유화학! (한국화학연구원 박지훈 박사 1부)
Переглядів 22 тис.16 годин тому
사람들은 왜 케미포비아, 화학공포증을 가지고 있을까? 태초에 지구도 스스로 전기화학 실험을 했다?! 생명체가 화학 실험의 결정체다? 현대 문명을 이끈 석유화학! 석유화학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한국화학연구원 박지훈 박사님과 함께 알아봅니다 ◆ 2024 신상 굿즈 블록 피규어 키링 포스터 출시 모어사이언스 스토어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smartstore.naver.com/morescience #화학 #케미 #전기화학 #열화학 #석유화학 #한국화학연구원 #박지훈박사 ◆ Thanks to 편집 : 최하람 Studio : 서울스트리밍스테이션 Guest : 한국화학연구원 박지훈 박사 ◆ 안될과학-모어사이언스 스마트스토어 (과학굿즈) smartstore.naver.com/morescience ◆ 안될과학 인스...
해왕성 밖의 천체들이 증명한 놀라운 진실?! 명왕성 너머 제9행성이 존재한다?! (항성의 우주속으로 - Planet 9편)
Переглядів 62 тис.19 годин тому
행성을 발견한 유일한 생존자가 될 수 있었던!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명왕성 킬러가 되버린 마이클 브라운 교수! 또 다른 행성인 미지의 행성 Planet 9을 발견했다?! 과연 그 관측적인 증거는 무엇인지? 항성의 우주속으로에서 함께 알아보시죠 ◆ 2024 신상 굿즈 블록 피규어 키링 포스터 출시 모어사이언스 스토어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smartstore.naver.com/morescience #유클리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항성 #우주속으로 ◆ Thanks to 편집 : 이재현 ◆ 안될과학-모어사이언스 스마트스토어 (과학굿즈) smartstore.naver.com/morescience ◆ 안될과학 인스타그램 unreal.science ◆ 안될과학 커뮤니티 cafe.na...
홍철이 형, 빠니야! 북극왔으니 과학관 가야지?! 노빠궤와 함께하는 북극여행! [떠날과학 북극편 1부!]
Переглядів 191 тис.21 годину тому
빠니보틀, 노홍철, 궤도! 노빠궤 크로스! 유쾌하면서도 언제나 즐거운 3명이 뭉쳐 북극으로 여행을 떠났다! 첫번째 목적지는 노르웨이 과학기술 박물관! 노홍철이 박물관보다 궤도가 더 재미있다고 하는 이유는? 에디슨과 갈릴레오가 꿈에 나타나 궤도를 저주한다니?! 빠니보틀, 노홍철, 그리고 궤도의 북극여행 1탄! 함께 떠나보시죠! ◆ 2024 신상 굿즈 블록 피규어 키링 포스터 출시 모어사이언스 스토어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smartstore.naver.com/morescience #빠니보틀 #노홍철 #궤도 #북극 #노르웨이 #떠날과학 ◆ Thanks to 편집 : 권다혜 ◆ 안될과학-모어사이언스 스마트스토어 (과학굿즈) smartstore.naver.com/morescience ◆ 안될과학 인스타그램 ...
유클리드 우주망원경이 찍은 말머리 성운! 제임스 웹으로 들여다보니?! [항성의 우주속으로-제임스 웹, 유클리드 편]
Переглядів 238 тис.День тому
오랜만에 돌아온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과 유클리드 우주망원경 소식 유클리드 우주망원경과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말머리 성운의 이미지 비교결과는?! 우주에서 가장 오래된 은하가 촬영되었다? 그 속에 담긴 비밀은?! 항성의 우주속으로에서 함께 알아보시죠 ◆ 2024 신상 굿즈 블록 피규어 키링 포스터 출시 모어사이언스 스토어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smartstore.naver.com/morescience #유클리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항성 #우주속으로 ◆ Thanks to 편집 : 이재현 ◆ 안될과학-모어사이언스 스마트스토어 (과학굿즈) smartstore.naver.com/morescience ◆ 안될과학 인스타그램 unreal.science ◆ 안될과학 커뮤니티...
유기물로 반도체를 만들면 어떻게 될까? 치명적 단점만 극복하면 Wi-fi를 대체할 수 있다?! AI 시대의 반도체의 미래 2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임경근 박사)
Переглядів 33 тис.День тому
유기물로 반도체를 만들면 어떤 장점이 있을까? 하지만 그 단점이 치명적이라는데?! 단점만 극복하면 엄청난 성능으로 Wi-fi를 대체할 수 있다? 유기반도체의 발전과 미래!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임경근 박사님과 함께 알아봅니다 ◆ 2024 신상 굿즈 블록 피규어 키링 포스터 출시 모어사이언스 스토어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smartstore.naver.com/morescience #ai #유기반도체 #Li-fi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임경근 ◆ Thanks to 편집 : 조주현 Studio : 서울스트리밍스테이션 Guest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임경근 박사 ◆ 안될과학-모어사이언스 스마트스토어 (과학굿즈) smartstore.naver.com/morescience ◆ 안될과학 인스타그램 instagram.c...
놀라운 장소가 생겨버렸다?! 서울에서 달탐사를 체험한다니! [안될과학X더문워커스]
Переглядів 46 тис.День тому
놀라운 장소가 생겨버렸다?! 서울에서 달탐사를 체험한다니! [안될과학X더문워커스]
AI 시대를 이끌고 있는 최첨단 반도체! 그 속에 담겨있는 숨은 비밀은?! AI 시대의 반도체의 미래 1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임경근 박사)
Переглядів 20 тис.День тому
AI 시대를 이끌고 있는 최첨단 반도체! 그 속에 담겨있는 숨은 비밀은?! AI 시대의 반도체의 미래 1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임경근 박사)
인공지능이 학습하는 원리가 이렇다고?! 생성형 AI가 창작을 하는 원리가 궁금하다면?! 생성형 AI의 현재와 미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송대영 연구원 2부)
Переглядів 47 тис.День тому
인공지능이 학습하는 원리가 이렇다고?! 생성형 AI가 창작을 하는 원리가 궁금하다면?! 생성형 AI의 현재와 미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송대영 연구원 2부)
생성형 AI가 당신의 삶을 바꾼다?! 생성형 AI 혁명과 비밀! 왜 하필 지금 이 시대에 우리는 왜 생성형 AI에 열광하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송대영 연구원 1부)
Переглядів 52 тис.День тому
생성형 AI가 당신의 삶을 바꾼다?! 생성형 AI 혁명과 비밀! 왜 하필 지금 이 시대에 우리는 왜 생성형 AI에 열광하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송대영 연구원 1부)
전기차가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탄소 생성이 더 많다? 텀블러의 탄소중립 효과는?! 전기화학으로 탄소중립 어떻게 할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동기 박사 2부)
Переглядів 47 тис.День тому
전기차가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탄소 생성이 더 많다? 텀블러의 탄소중립 효과는?! 전기화학으로 탄소중립 어떻게 할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동기 박사 2부)
이산화탄소를 포집해서 새로운 제품을 만든다?! 선글라스 부터 자동차 내장재까지! 전기화학으로 탄소중립 어떻게 할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동기 박사 1부)
Переглядів 28 тис.День тому
이산화탄소를 포집해서 새로운 제품을 만든다?! 선글라스 부터 자동차 내장재까지! 전기화학으로 탄소중립 어떻게 할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이동기 박사 1부)
우주는 어디까지? 0은 무엇인가? 밤하늘은 왜 어둡나? 질문에 질문을 거듭하는 무한궤도와 질문도니! [궤도의 과학속으로 -정형돈 편]
Переглядів 142 тис.14 днів тому
우주는 어디까지? 0은 무엇인가? 밤하늘은 왜 어둡나? 질문에 질문을 거듭하는 무한궤도와 질문도니! [궤도의 과학속으로 -정형돈 편]
우주로부터 오는 매우고에너지 감마선! 빛보다 빠른 물질로 관측한다?! 감마선천체물리 3탄 2부! [성균관대학교 노창동 교수]
Переглядів 20 тис.14 днів тому
우주로부터 오는 매우고에너지 감마선! 빛보다 빠른 물질로 관측한다?! 감마선천체물리 3탄 2부! [성균관대학교 노창동 교수]
우주의 미스터리를 해결한다?! 고에너지를 만드는 천체의 정체는 무엇일까? 감마선천체물리 3탄 1부! [성균관대학교 노창동 교수]
Переглядів 22 тис.14 днів тому
우주의 미스터리를 해결한다?! 고에너지를 만드는 천체의 정체는 무엇일까? 감마선천체물리 3탄 1부! [성균관대학교 노창동 교수]
데이터과학자의 좌절편! 데이터과학자는 대부분의 시간을 OOO 으로 보낸다? 데이터과학자의 일상 2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김영진 박사)
Переглядів 33 тис.14 днів тому
데이터과학자의 좌절편! 데이터과학자는 대부분의 시간을 OOO 으로 보낸다? 데이터과학자의 일상 2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김영진 박사)
데이트 앱 데이터로 이런것까지?! 데이터과학자는 과연 무슨일을 하는것일까? 데이터과학자의 일상 1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김영진 박사)
Переглядів 20 тис.14 днів тому
데이트 앱 데이터로 이런것까지?! 데이터과학자는 과연 무슨일을 하는것일까? 데이터과학자의 일상 1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김영진 박사)
원자력 안전성 확보를 위해 이것까지 한다?! 우리나라의 원자력 안전성 확보를 위한 노력은?! 원자력활용레시피 3부 [한국원자력연구원 이민규 연구원]
Переглядів 18 тис.14 днів тому
원자력 안전성 확보를 위해 이것까지 한다?! 우리나라의 원자력 안전성 확보를 위한 노력은?! 원자력활용레시피 3부 [한국원자력연구원 이민규 연구원]
스타쉽 4차 발사 리뷰! 과연 3차 발사때와는 무엇이 달라졌을까? [항성의 우주속으로]
Переглядів 68 тис.14 днів тому
스타쉽 4차 발사 리뷰! 과연 3차 발사때와는 무엇이 달라졌을까? [항성의 우주속으로]
스타쉽 4차 발사 IFT-4 하이라이트 [안될과학 랩미팅]
Переглядів 63 тис.14 днів тому
스타쉽 4차 발사 IFT-4 하이라이트 [안될과학 랩미팅]
여름 해충 출몰! 해결하는 방법은?! 벌레 퇴치의 과학 (바퀴벌레 사진 안나옴) [안될과학X컴배트]
Переглядів 48 тис.14 днів тому
여름 해충 출몰! 해결하는 방법은?! 벌레 퇴치의 과학 (바퀴벌레 사진 안나옴) [안될과학X컴배트]
체르노빌,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왜 어떻게 일어난 것일까?! 원자력활용레시피 2부 [한국원자력연구원 이민규 연구원]
Переглядів 41 тис.14 днів тому
체르노빌,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왜 어떻게 일어난 것일까?! 원자력활용레시피 2부 [한국원자력연구원 이민규 연구원]
원자로 긴급정지 SCRAM! 그 속에 숨은 비밀이 있다?! 원자력 발전의 역사와 원리에 숨은 원자로의 비밀! 원자력 활용 레시피 1부 (한국원자력연구원 이민규 연구원)
Переглядів 31 тис.21 день тому
원자로 긴급정지 SCRAM! 그 속에 숨은 비밀이 있다?! 원자력 발전의 역사와 원리에 숨은 원자로의 비밀! 원자력 활용 레시피 1부 (한국원자력연구원 이민규 연구원)
대한민국에서도 초전도 전선이 이미 사용되고 있다?! 초전도 케이블의 원리와 장점은?! 전기공학자는 어떻게 초전도체를 활용하나? 2부 (한국전기연구원 김성규 박사)
Переглядів 20 тис.21 день тому
대한민국에서도 초전도 전선이 이미 사용되고 있다?! 초전도 케이블의 원리와 장점은?! 전기공학자는 어떻게 초전도체를 활용하나? 2부 (한국전기연구원 김성규 박사)
초전도체로 전기 전선을 만들면 무슨일이 생길까? 전기공학자는 어떻게 초전도체 활용을 할 수 있을까? [한국전기연구원 김성규 박사]
Переглядів 28 тис.21 день тому
초전도체로 전기 전선을 만들면 무슨일이 생길까? 전기공학자는 어떻게 초전도체 활용을 할 수 있을까? [한국전기연구원 김성규 박사]
대한민국 에너지 무선 전송에 성공했다! 우주태양광 발전을 위해서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우주태양광발전 2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최준민 박사]
Переглядів 110 тис.21 день тому
대한민국 에너지 무선 전송에 성공했다! 우주태양광 발전을 위해서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우주태양광발전 2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최준민 박사]
24시간 365일 전기 생산이 가능하다?! 우주태양광발전이란 무엇일까?! 우주태양광발전 1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최준민 박사]
Переглядів 52 тис.21 день тому
24시간 365일 전기 생산이 가능하다?! 우주태양광발전이란 무엇일까?! 우주태양광발전 1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최준민 박사]
바나나맛우유 마신 자가 용기를 얻는다?! 단지 용기의 유체역학적 설계와 뇌과학 이야기!! [안될과학 X 빙그레]
Переглядів 33 тис.21 день тому
바나나맛우유 마신 자가 용기를 얻는다?! 단지 용기의 유체역학적 설계와 뇌과학 이야기!! [안될과학 X 빙그레]
Everything about Faker is science?! Orbit who welcomed Sanghyeok! [Into the science of orbit...
Переглядів 196 тис.21 день тому
Everything about Faker is science?! Orbit who welcomed Sanghyeok! [Into the science of orbit...

КОМЕНТАРІ

  • @user-wm5ti1tw7p
    @user-wm5ti1tw7p 12 годин тому

    그래서 상대성이론을 어떻게 발견했다는거죠?

  • @bkbk1461
    @bkbk1461 12 годин тому

    저 기계 돌리는 에너지는 뭘로 만들꺼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ck4re8xz4t
    @user-ck4re8xz4t 12 годин тому

    일반 대기중의 co2농도는 0.042%정도라 효율이 나올 수가 없어요.

  • @user-ve1sp4rf8q
    @user-ve1sp4rf8q 12 годин тому

    소형화해서 차에 부착 할 수 있으면 좋겟다

  • @user-ev5pm6kx7w
    @user-ev5pm6kx7w 12 годин тому

    광합성용 식물 노예를 쓰는게 아니구나

  • @NewsAnony
    @NewsAnony 12 годин тому

    정화비용 30프로, 관리비용 50프로, 홍보, 법률비용 20프로 그래서 안되는 것임

    • @guitarssam
      @guitarssam 12 годин тому

      마차에서 자동차로 넘어올 때도 안 된다고 했습니다

  • @yunib
    @yunib 13 годин тому

    문제는 설비의 설치 작동 운반 가열등 모든과정에 에너지가 들어간다는거지 결국 싸고 친환경적인 기적의 에너지원이 필요함

  • @silverwolf2627
    @silverwolf2627 13 годин тому

    20:45 어머니?? ㅋㅋㅋㅋㅋㅋ

  • @LaMagra578812
    @LaMagra578812 13 годин тому

    18:21 비타민B2가 들뜬 상태가 될 수 있는 여기광이 파란색이라서 그렇습니다. 보라색 = 파란색 + 빨간색인데, 파란색은 비타민B2에 흡수된 뒤 형광인 녹색으로 바뀌어서 방출된 것이고, 빨간색은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그대로 전부 투과되죠. 다만 음료 전체가 녹색 + 빨간색의 혼색인 노란색으로 보이지 않고 어느정도 층으로 나타나는 건 비타민B2의 농도가 진하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요컨대 광원에 가까운 곳에서 이미 파란색 빛이 충분히 흡수되어 컵 중간 부분까지 여기광이 도달하지 못해서 바닥 부분은 녹색, 중간 부분은 녹색 + 빨간색의 혼색인 노란색, 그리고 광원에서 가장 먼 곳은 빨간색으로 그라데이션이 진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1:10 의 오른쪽 사진이 이를 잘 보여주는 예시인데, 언뜻 파란색 여기광으로 액체 전체가 녹색 형광으로 가득 찬 것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컵 바닥에 형광의 광원 대부분이 모여있고 나머지는 용액 내부에서 녹색 형광이 산란된 상태(빨간색은 컵 전체가 균일하게 붉은데 반해, 파란색 여기광은 광원에 가까운 부분과 컵 중간 부분의 상태가 다름)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18:54 가 좋은 대조군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 앞서 토닉 워터의 형광이 파란색으로 관찰됐기 때문에 보라색 빛을 쬐여봤자 파란색(형광) + 빨간색 = 보라색 빛으로 물과 별 차이가 없이 보인다고 설명할 수 있겠습니다.

  • @Minky-mv1pm
    @Minky-mv1pm 13 годин тому

    마운틴듀 형광인뎅

  • @user-in9so4tx2j
    @user-in9so4tx2j 13 годин тому

    간단하다니...똑똑하군

  • @user-hq9nu5zo9z
    @user-hq9nu5zo9z 13 годин тому

    저는 전문가는 아니지만, 보라색라이트로 아래에서 비추었을때 색이 그라데이션형태로 바뀌는이유가 보라색과 오렌지 또는 주황계열과 만났을때 붉은계열과 녹색계열로 분리되어서 컵의용기와 내용물안에서 반사 굴절되면서 일어난 현상이 아닐까 싶은데요? 앞에 토닉워터도 밝은쪽은 연노랑색에서 녹색과 어두운녹색으로 보이는 부분이 발생하는데. 이와같이 보라색빛이 밝은쪽에서 조도가 강해서 녹색을 보이고 빛이 산란되고 약해지면서 붉은색과 노란색으로 반사되는게 아닌가싶은데요. 방송용 조명에서 빨 파 노 샐로판지를 이용해서 사용할때도 비슷했던거 같은데. 너무 전문적인 과학방송이라서 조심스럽게 의견써봅니다 ㅎ

  • @user-wt3vn8nu9w
    @user-wt3vn8nu9w 13 годин тому

    형님 갑자기 궁금한게 생각나서 댓글에 여쭙니다.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가 서로 합쳐진다고 들었습니다. 서로 가까워진다고 봐야겠지요 우리은하 중심엔 태양질량의 400만배를 가진 블랙홀이 있다던데 그 무거운게 지금 안드로메다 은하쪽으로 움직이고 있나요?

  • @hejiwu2557
    @hejiwu2557 13 годин тому

    9:23 "이름 만큼"이 아니고 "잃은 만큼"이겠죠?

  • @user-ro3xe2ko2j
    @user-ro3xe2ko2j 14 годин тому

    근대사에서 이상하면 영국이고 신기술이면 군용이다 핵잠용으로 개발하고 다시 개량해서 팔아먹을려고 하는거고 기존 핵발전소 기술팀은 반대할거고 한마디로 밥그릇 싸움 결론 왜 아파트단지 일까?

  • @ttx4885
    @ttx4885 14 годин тому

    ㅋ 이산화탄소 배출량이랑 비슷한거같은데 그정제시키는것도 전기인데 전기는 화력발전으로하는건데

  • @user-bx2lh7tl2k
    @user-bx2lh7tl2k 14 годин тому

    미국은 저 수준이 아니라 엽록체의 기계화를 거의 성공시키는 중임. 약간의 조작으로 당으로 끝내는 게 아니라 체인으로 탄소 붙이면 그게 기름임. 그 기술 깃발 꽂는 회사 나올 때 전재산 꼴아박을 준비 중이다.

    • @ryujinsu
      @ryujinsu 14 годин тому

      그땐이미 늦은걸^^

  • @user-uh2fo8uk4n
    @user-uh2fo8uk4n 14 годин тому

    내가 손님한테 이말했다가 ㅂㅅ취급당함.....

  • @Gameboogi
    @Gameboogi 14 годин тому

    6:35 나태지옥 전지적시점

  • @user-yg2qj7qh6c
    @user-yg2qj7qh6c 14 годин тому

    저걸 이해하는 양반들이 더 대단해 보이네, 그래서 분필을 어떻한다거;

  • @Chan-iu5ne
    @Chan-iu5ne 14 годин тому

    그만하자

  • @user-hr9py1rx5s
    @user-hr9py1rx5s 14 годин тому

    이론은 항상 간단합니다. 실험에 성공시간은 아주 오래 걸립니다. 그것이 과학 입니다. 그래서 박사는 아무나 할수 있는게 입니다. 박사님 화이팅.

  • @ccmil555
    @ccmil555 14 годин тому

    쉽게 설명한다길래 기대했는데 한개도 모르겠다...나뿐이냐

  • @ore2505
    @ore2505 14 годин тому

    근데 궁금한게 저렇게 과하게 포집했을 때 편서풍이나 그런 지구의 기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뭐 그런 걱정은 안해도 되나요?

  • @ore2505
    @ore2505 14 годин тому

    블루투스 샤워기도 곧 가능할듯

  • @user-ot8fg9ry8t
    @user-ot8fg9ry8t 15 годин тому

    효율이 얼마나 되는지가 중요한거 같은데...

  • @agnes1552
    @agnes1552 15 годин тому

    제목없음티비가 되버렸네 ㅋㅋㅋ

  • @orangeblue9141
    @orangeblue9141 15 годин тому

    우리가 먹는 탄산칼슘이 분필이었나..?!

  • @worldpp96
    @worldpp96 15 годин тому

    유니님 ㅋㅋㅋ 대학원생에 적합해져 가고 있어 ㅋㅋㅋ

  • @agnes1552
    @agnes1552 15 годин тому

    모르는 거에 답을 들으면 좀 수긍도해야지 도니는 질문이 아니고 연구를 해야겠다 본인스스로 깨닫게

  • @Net77
    @Net77 15 годин тому

    유니님 점점 일반인에서 과학자가 되가고 계셔...ㄷㄷㄷ

  • @SunnyHug
    @SunnyHug 15 годин тому

    랩짱 점점 똑똑해져가서 댕청미 사라지는것 같아 아쉽다 ㅠ

  • @user-lg8cy4tr9r
    @user-lg8cy4tr9r 15 годин тому

    이해못함

  • @user-yd5cn8cu4s
    @user-yd5cn8cu4s 15 годин тому

    원자력 투자하는 돈을 풍력, 조력, 태양광과 핵융합발전에 더 적극적으로 추진하는게 옳을꺼 같은데... 핵분열 발전의 가장 큰 이슈. 방사능. 현재 기술로는 30만년 있어야 위험하지 않는데... 매년에 700톤씩 나오는 사용후핵연료... 보호설비까지 계산하면 엄청 커지지만... 700평 창고 기준 월 임대료 2천.. X 12개월 X 30만년 72조원... 원자력은 매년 72조(수조&방사능차폐&유지관리하면 100배 이상 될듯...)를 전기세에 포함해야 맞는거죠.

  • @user-fi4gm1vy6r
    @user-fi4gm1vy6r 15 годин тому

    쓰지도 않는 구닥다리 기술 뭐가 대단하다고 설명을해. 매립 하는거나 설명하지

  • @thyron1
    @thyron1 15 годин тому

    휴전선 전역에 설치하라

  • @SharpLince
    @SharpLince 15 годин тому

    바다에 식량을 얻지 않도록 어업 활동만 막아도 충분할꺼 같은데여..

  • @user-ol5ox2bf7y
    @user-ol5ox2bf7y 15 годин тому

    저거 만들려고 드는 자재와 운영에 드는 에너지등을 위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어쩌구 그냥 잘 크는 나무를 심으면 알아서 다 포집한다 열심히 나무심자

  • @user-oq6mm2rd8u
    @user-oq6mm2rd8u 15 годин тому

    저걸 가동하는건 또한 전기 일텐데 전기는 또 화석 연료이고...결국 본전도 못찾을꺼같은데

  • @abell1689
    @abell1689 16 годин тому

    smr은 진짜 안전해서 내륙 아무데나 갖다 박아도 안전함 대구 신공항 바로 옆에 짓는다고 함

  • @louis-vu5ee
    @louis-vu5ee 16 годин тому

    곽…범..?

  • @bodabon2970
    @bodabon2970 16 годин тому

    댓글 스팸 왜이리 많오..

  • @istj_1030
    @istj_1030 16 годин тому

    간단?

  • @ALETHES
    @ALETHES 16 годин тому

    단순 추측인데 플라빈은 공명되는 파장이 두군데 이상이고 퀴닌은 한군데인 거 아닐까요? 유기화학 고수 분 등판좀

  • @tteaya870
    @tteaya870 16 годин тому

    에이~ 엄청 간단한거잖아?! (하나도 이해못함)

  • @ALETHES
    @ALETHES 16 годин тому

    비타민B2 자외선에 형광될텐데 (오프닝만 봄)

  • @bloodhobbang
    @bloodhobbang 16 годин тому

    지금ㅋㅋㅋ 에너지 대비를 생각할때냐ㅋㅋㅋㅋㅋㅋㅋㅋ 경제성 따지다 다 죽을지도

  • @ppppi23
    @ppppi23 16 годин тому

    하아...이건 좀...

  • @user-rt5zp4hr1h
    @user-rt5zp4hr1h 16 годин тому

    그냥.... 와~~~~~~~~~~~~~~~~~~~~~~~~~~~~~~~~~~~~~~~~~~~~~~~~~ !

  • @user-ki7lw1it1c
    @user-ki7lw1it1c 17 годин тому

    아재여.. 영상에 효과음같은거 넣지 마소..... 제발제발 효과음 넣으면 안됩니다...